Overwatch Overhaul Warhammer Community



집중감시(Overwatch) 규칙의 대대적 변화



저희는 지금까지
새로운 9 판에서 여러분의 게임 환경을 크게 변화시킬만한, 
대대적으로 변경된 기본 규칙 몇 가지를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집중감시(Overwatch) 규칙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입니다.

저희는 지난 8 판에서 집중감시(Overwatch) 규칙에 대한 
여러분들의 다양한 의견을 받았습니다.
저희는 이러한 여러분들의 여러 의견을 취합하여,
집중감시(Overwatch) 규칙을 보다 사려 깊고 신중한 행동이 될 수 있도록 개선하였습니다. 

그 결과, 집중감시(Overwatch) 규칙은 
사격 위주의 진영과 근접전 위주의 진영 모두에게 
보다 전략적이고 균형적인 규칙이 되었습니다.


집중감시(Overwatch)가 무엇입니까?

쉽게 말하자면 집중감시(Overwatch) 규칙은 지향사격 규칙입니다.
날붙이를 손에 쥔 적들이 목청껏 전쟁구호를 외치며 쇄도해 들어올 때,
근접전에 돌입하기 전 마지막으로 적을 소모시키기 위한 최후의 사격 시도를 의미합니다.



워해머 40,000 게임에서 
집중감시(Overwatch) 규칙은 중요한 역할을 차지합니다.

근접전 위주의 병력으로 편성된 진영이 적진에게 돌진해 들어갈 때,
조금 더 신중하게 상황을 고려하게 해주며,
중화기나 원거리 병력이 밀집된 곳으로 돌격해 들어갈 때,
사려 깊지 못한 돌격에 대해 손해를 부여합니다. 

새로운 9 판에서도 이런 사실은 크게 변하지 않았습니다만,
지금까지의 집중감시(Overwatch) 규칙과는 조금 많이 달라졌습니다.


어떤 점이 변경되었나요?

제일 먼저 알아볼 집중감시(Overwatch) 규칙의 제일 큰 변화는 
자연스런 반응의 기본 규칙이었던 집중감시(Overwatch)가
지휘 점수(Command point) 1 점을 소모하는 
기본 전략(Core Stratagem)으로 변경되었다는 점입니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전략(Stratagem)은 
한 시기(Phase) 당 한 번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어떤 상황에서 집중감시(Overwatch) 규칙을 사용할지,
그 효율성에 대해 보다 장고(長考)가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일례로 화염폭풍 장갑(Flamestorm gauntlet)을 장비한 
스페이스 마린 어그레서(공격군; Aggressor)는
손쉽게 돌격해 들어오는 적을 통구이로 만들어 버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에 비해 공격력이 겨우 절반에 미칠까 말까한 
성간 우주군(Astra Militarum) 보병은 
돌격해 들어오는 적에게 즉각적이지만 비효율적인 사격을 시행해, 
얼마나 많은 효과를 거둘지 장담할 수 없는 상황에서
지휘 점수(Command point) 1 점을 소모해 집중감시(Overwatch)를 수행할지 말지에 대해
비용 대비 효과를 심각하게 고민하게 될 겁니다.



집중감시(Overwatch) 사격을 시행하기로 결정했다면,
집중감시(Overwatch) 사격 수행은 이전과 동일하게 진행됩니다.
특별한 상황이나 규칙등의 예외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각 사격 당, 일반적인 명중 굴림(Hit roll)을 수행하는 대신에
순수하게 D6 주사위 눈이 6 이 나온 경우에만 명중시킬 수 있습니다.



새로운 집중감시(Overwatch) 규칙은 전반적으로 
근접전 돌격군을 대규모로 운용하는 진영, 즉, 오크(Ork)나 티라니드(Tyranid)처럼
다수의 근접전 병력을 적에게 동시에 돌격시킬 수 있는 진영에게 유리해졌습니다.

앞서 설명해 드렸듯이 
9 판에서는 예전과 달리 돌격에 대한 보복 사격을 전 부대가 수행할 수 없으며,
한 시기(Phase) 동안 돌격해 들어오는 적 유닛들 중,
오직 한 유닛에게만 수행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신중하고 사려 깊게 집중감시(Overwatch) 사격을 결정해야합니다!

아군 주력전차를 노리고 돌격해오는 트라이곤(Trygon)을 저지하실 건가요?
아니면 동시 다발적으로 아군 보병대를 노리고 들어오는 
호으르마가운트(Hormagaunt) 30 마리 떼거리를 저지하실 건가요?

아마도 쉬운 결정은 아닐 겁니다.


지형 효과



적이 잘 구축된 단단한 엄폐물 뒤에 숨어 강력한 화력을 자랑한다면,
근접전 병력 위주로 이루어진 진영은
돌격으로 이들을 쓸어버리는 걸 다시 생각해봐야 할겁니다.
막강한 화력진지로의 장거리 돌격은 실패로 끝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몇몇 진영은 특별한 방법으로 집중감시(Overwatch) 규칙에 혜택을 받을 예정입니다.
예를 들어 트'아우(T’au) 제국은 독자적인 특수 규칙인 
대선(Greater Good) 특수 규칙을 통해 집중감시(Overwatch) 규칙에 혜택을 받습니다.

이런 특수 규칙들 중에 저희가 제일 선호하는 규칙은 
십자군 전력(Crusade force)에게 부여되는 전투 특징(Battle Trait)인
냉철함(Cool-Headed) 특수 규칙으로 
해당 규칙의 혜택을 받는 모델은 
무료로 향상된 능력의 집중감시(Overwatch) 사격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냉혹한 숙련병으로 이루어진 여러분의 십자군 전력(Crusade force)은
무신경한 적들의 돌격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이런 무료 집중감시(Overwatch) 사격을 할 수 있는 모델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만,
혹시 여러분의 진영에 이런 특수 규칙을 보유한 유닛이 없는지를 
미리 확인해 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겁니다.
아군에게 돌격해 들어오는 적에게 보복 사격을 무료로 수행하면서, 
동시에 전략(Stratagem) 사용 기회를 남겨 두는 것이 
전략적으로 얼마나 유용한 일일지 상상해 보십시오.

주의하실 점이 하나 더 있습니다.
요령이 좋은 상대라면, 
여러분이 적의 배치 구역(Deployment zone)에 발을 디디는 순간,  
순식간에 무장 해제시킨다음, 전멸 시켜버릴 수 있습니다.

적이 근접전 거리(Engagement Range- 1 인치-)에 위치하더라도 
그 위치가 아군 배치구역의 가장자리라면 배치(Deploy)를 수행할 수 있으며,
해당 배치에 따라 적과 아군이 인접하게 된다면,
돌격(Charge)을 수행 한 것처럼 적과의 근접전이 바로 이루어집니다!

사실 이런 상황이 발생하는 건 극히 드문 경우일 겁니다만,
적절한 상황에서 이런 기교를 성공시킨다면,
애써 지휘 점수(Command point)를 소모하면서까지, 
어떻게든 적의 근접 공격을 막아보려는 
애처로운 적의 집중감시(Overwatch)를 완벽하게 무시하고,
자신의 화력만 믿고 전진으로 너무 깊게 들어온 적을 괴멸시킬 수 있습니다.



자, 정리하자면, 
공격자들도 한 번의 집중감시(Overwatch) 사격 기회를 쥐고 있는 적을 상대로
최선의 결과를 낼 수 있도록 아군 근접전 병력의 돌격 순서를 
잘 조율하여야만 하며,
이에 방어자들도 적의 돌격에 대해 집중감시(Overwatch) 사격을 지금 수행할지, 
아니면 뒤에 올 더 큰 돌격을 방어하기 위해 남겨둘지를 놓고
더 많은 고민을 해야 합니다.

여러분은 9 판이 실제로 발매된 이후에
전략(Stratagem)을 사용하지 않고도, 
아군에게 집중감시(Overwatch) 사격을 허용해 주는 
다양한 상황이나 지형 혹은 유닛을 발견하게 될 겁니다.

이런 상황이나 지형 혹은 유닛은 매우 중요한 전략 자산입니다.
소중히 여겨주세요!



새로운 집중감시(Overwatch) 규칙의 변경점이 마음에 드시나요?
트위터나 페이스북, 혹은 인스타그램에 #New40K 해시태그와 함께 여러분의 의견을 게시해 주세요.
그리고 매일 새로운 9 판에 대한 새로운 정보가 올라올 예정이니, 놓치지 마세요.



※ 9 판에서 새롭게 변경되는 지형 규칙도 함께 숙지해 두시면 좋습니다.

------------------------------------------------------------------------------------------------------------------------
2020년 6월 17일에 Warhammer Community에 게재된 내용입니다.

메모장 & 그림판 뚝딱이라 많이 미숙합니다.
감안하고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상당량의 의역과 오역이 섞여 있습니다.

번역방식도 주관적으로 되어 있습니다.

타인을 불쾌하게 만들었다면 죄송합니다.

------------------------------------------------------------------------------------------------------------------------


덧글

  • 자유로운 2020/06/18 13:37 # 답글

    이젠 들어가는 것도 막는 것도 전부다 신경 써야겠군요. 역시 접근전 강화한다더니 이렇게 가는군요.
  • Lapis 2020/06/18 14:18 #

    이제 접근전 부대가 돌격하기 전에 녹아내리는 일은 줄어들 것 같습니다.
    하지만 몇몇 유닛과 지형 그리고 진영에게는 이 대응 사격이 공짜로 제공된다니 신경 쓸게많아질 겁니다.
  • G-32호 2020/06/19 07:43 # 답글

    그럼 저 지형을 차지하는 쪽이 게임의 승패를 잡게 되는거군요. 다만 과거 맥워리어 암흑기 때의 물웅덩이 지형처럼 좋지 않게 되지만 않기를..
  • Lapis 2020/06/19 11:35 #

    아무래도 저런 특성을 가진 지형을 강한 원거리 화력을 보유한 보병으로 지배하면 유리할 겁니다.
댓글 입력 영역


통계 위젯 (화이트)

3321
245
133272